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8일 (일)
전체메뉴

지역소득 '수도권 쏠림' 심화…경남소득 12조원 유출

산업연구원, 소득 유출입 조사 2016년 서울·경기 62조 유입
경남소득 12조원 타지역으로 유출

  • 기사입력 : 2018-11-25 22:00:00
  •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추진되고 있지만, 지난 2016년 경남에서 12조205억원의 요소소득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는 등 지역소득의 역외 유출이 갈수록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인이미지기사와는 상관없는 사진입니다. 사진출처/경남신문DB/

    이에 반해 서울(40조3807억원)과 경기도(21조9464억원) 등 수도권으로는 지역소득 쏠림이 증가하고 있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소득격차도 점차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요소소득은 해당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의 근로소득과 지역에 있는 기업소득의 합계로 구성되는데, 지역소득 현황을 측정하는 지표로 쓰인다.

    산업연구원(KIET)이 25일 발표한 ‘지역소득 역외유출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도(세종시 제외)의 소득 유출입을 조사한 결과 경남을 포함한 9개 지역에서 소득이 유출됐다.

    2016년 기준 충남에서 24조9711억원의 요소소득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됐다. 이어 경북 16조1003억원, 울산 13조6305억원, 경남 12조205억원, 전남 11조5236억원, 충북 9조7698억원, 강원 6조1842억원, 전북 4조8921억원, 제주 727억원 순이다.
    메인이미지

    경남의 경우 유출액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8%로 상당한 부분이다.

    서울 등 나머지 7개 지역은 소득이 유입됐다. 유입액은 서울이 40조3807억원으로 월등히 높고, 경기 21조9464억원이다. 이어 광역시인 부산 8조4334억원, 대구 7조702억원, 대전 3조4082억원, 광주 2조2525억원, 인천 2조582억원이 차지했다.

    서울과 경기로 유입된 소득은 62조3271억원으로 나머지 유입지역의 소득 합계 23조2225억원보다 2.7배 가량 높아 수도권으로 소득유입 쏠림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이 유입된 지역과 유출된 지역의 격차는 지난 10여 년 새 더 벌어졌다.

    경남지역 유출액은 2000년 8조8604억원에서 2016년 12조205억원으로 3조1601억원으로 늘었다. 충북(15조1671억원), 경북(6조9729억원), 울산(5조7430억원), 전남(1조635억원)도 2000년 대비 유출액이 늘었다.

    반면 서울의 유입액은 2000년에서 2016년 사이 11조283억원 늘었다. 경기(5조7897억원), 부산(3조4565억원), 대구(3조5123억원)도 2000년과 비교해 소득이 더 유입됐다.

    보고서는 소득 유출입의 주요 원인이 근로자의 근무지와 거주지가 다르고, 본사와 공장·지사·영업소의 소재지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경기에서 다른 지역으로 통근하는 근로자가 많고, 서울·경기에 기업 본사가 많다는 의미다.

    또 지역에 고부가가치산업을 많이 육성해도 역내에서 전문인력을 충분히 구하지 못할 경우 다른 지역 통근 근로자가 늘어 소득이 유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성민 연구원은 “수도권 블랙홀 현상이 과거보다 강화되는 양상”이라며 “유출입 지역이 2000~2016년에 걸쳐 고착화하는 추세를 보이며, 유입·유출 심화로 분배소득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단일 대안만으로 소득유출입을 개선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단기적으로는 지역화폐 및 전략적 본사 유치로 역내 부가가치 유출을 완화하고, 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지역 혁신인력양성과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상권 기자 sky@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이상권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