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도내 지자체 ‘생물다양성 보호’ 무관심

경남 멸종위기생물 73종 서식에도
18개 시군 중 관련 조례 창원 유일
창원도 적극적인 실천 내용은 없어

  • 기사입력 : 2022-11-28 21:05:54
  •   
  • 도내에 멸종위기생물 70여종이 서식하고 있지만 창원시를 제외한 17개 시·군에서는 야생생물 보호와 다양성 보존에 관한 조례가 없어 관련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경남 멸종위기생물 73종, 관련 조례는 창원만= 국립생태원이 제공한 경남 멸종위기생물 현황에 따르면, 경남 전역에는 73종의 멸종위기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무산쇠족제비, 독수리 등 포유류와 맹금류부터 구렁이, 고리도롱뇽과 같은 파충류와 곤충·식물까지 다양하다. 멸종위기생물이 가장 많이 발견된 지역은 하동군으로 잿빛개구리매를 포함한 26개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어 합천에 25개종, 산청에 21개종이 서식하는 등 도내 지자체마다 다양한 멸종위기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단일지역에만 서식해 집중적인 보호가 필요한 멸종위기생물도 27개종에 달한다. 양산에만 사는 고리도롱뇽과 함안에서 발견된 토끼박쥐, 합천군의 금개구리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지역에는 멸종위기종 외에도 보존 가치가 충분한 야생생물이 분포해 있지만 보호와 보존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조례는 마련되지 않고 있다.

    양산 신종 도롱뇽이 ‘양산꼬리치레도롱뇽’이라는 공식명칭을 부여 받았다. 사진은 양산꼬리치레도롱뇽./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양산 신종 도롱뇽이 ‘양산꼬리치레도롱뇽’이라는 공식명칭을 부여 받았다. 사진은 양산꼬리치레도롱뇽./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경남 18개 시·군 중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조례가 제정된 곳은 창원시가 유일하다. 창원시의 경우 지난 2019년 ‘야생생물 보호 및 생물다양성 증진 지원 조례’를 제정해 야생생물의 보호에 필요한 지역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고 전문 구조·치료 기관을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창원시의 조례 또한 생물다양성의 보존에는 힘이 실리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관산학 거버넌스 형태로 창원의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반딧불이, 수달 등의 모니터링과 연구를 진행하는 김연옥 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은 “경남에서 유일하게 조례를 제정한 점은 고무적이지만 생물다양성 전략수립이 권고사항에 불과하는 등 적극적 실천에 관한 내용이 없다”며 “시가 선두적으로 생물다양성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일부 조례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에 맞춘 다양성 보존 조례 필요= 생물다양성 보존의 선두 지자체로는 경기도 수원시가 꼽힌다. 지난 2016년 ‘자연환경 보전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조례’를 제정한 수원시의 경우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관련 연구용역을 맡기고 매년 보존 계획을 수립해 나가고 있다.

    수원시가 수행한 다양한 보존 사업 중 대표적인 것은 칠보치마와 꼬리명주나비 사례다. 수원시는 칠보산이 원자생지였던 멸종위기생물 칠보치마의 복원을 위해 칠보치마를 타지역 자생지에서 채종해 지역 습지에 이식하고 6년간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을 통해 복원에 성공했다. 국가적색목록에 포함된 꼬리명주나비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별도의 생태정원을 만들고 애벌레의 먹이이자 희귀식물인 쥐방울덩굴을 채종해 이식하는 등 정책을 펼쳐 보존을 이뤘다. 지자체가 생물 다양성을 위해 장기적인 계획과 예산을 들인다면 지역에서 멸종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을 복원과 보전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역 환경운동가는 지역의 실정과 생물 가치를 반영한 정책을 펴기 위해 생물다양성 관련 조례 제정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임희자 시민환경연구소 실장은 “야생생물 보호는 결국 현장 환경을 보존해야 하는 것인데, 그 현장은 모두 시와 군에 있다. 환경부의 법으로는 현장과 맞지 않는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며 “그렇기에 결국은 지역 실정에 맞는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지자체 조례 제정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생물의 보존은 곧 서식처의 보존이다. 생물다양성이 있는 지역은 그만큼 다양한 환경을 갖췄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생물다양성 보존의 가치를 이것에서 찾는다. 임정철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선임연구원은 “다양한 생물이 살지 못하는 곳은 그만큼 건강하지 못한 환경과 구조를 갖추지 못했다는 반증”이라며 “생물다양성을 지켜가는 일이야말로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어태희 기자 ttotto@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어태희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