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16일 (일)
전체메뉴

소멸위기 통영 웃게 하려면?

‘2024 통영시 인구포럼’ 열려

  • 기사입력 : 2024-05-22 20:57:59
  •   
  • “산업·교통·출산환경 개선 필요
    일자리 연계 지원체계 구축해야
    청년인구 유입 정책도 마련을”


    급속한 인구 감소로 도시 소멸 위기에 직면한 통영시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업인프라와 교통인프라, 지속가능한 교육, 보건의료, 생활환경 여건이 갖춰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통영시는 지난 21일 오후 용남면 세자트라숲 지속가능발전교육재단 강당에서 ‘2024 통영시 인구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전문가 발제 후 시민의견을 수렴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21일 통영시 용남면 세자트라숲 대강당에서 ‘통영시 인구정책과 발전방향’ 포럼이 열렸다./통영시/
    21일 통영시 용남면 세자트라숲 대강당에서 ‘통영시 인구정책과 발전방향’ 포럼이 열렸다./통영시/

    발제에 나선 경상대 산업경영학과 오재신 교수는 “통영시의 주민등록 인구수는 지난 2014년 이후 10년 만에 2만명 가까이 줄었다”며 “현재의 추세가 지속된다면 통영시는 도시 소멸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오 교수가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말 13만9439명이던 통영시 인구는 지난해 말 12만551명으로 10년 만에 1만8888명이 줄었다.

    특히, 출생아 수의 경우 2014년 한 해 1273명이 태어났으나 지난해에는 300명이 전부였다. 또, 여성 1명이 평생 아이를 낳는 합계출산율은 0.71로 경남 평균 8.0보다 적은 수치이며, 18~39세 청년인구도 2014년 3만9028명에서 지난해 2만1605명으로 10년 사이 1만명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고령화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통영시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14년 14%에서 지난해 23.9%로 급격하게 증가해 초고령사회(20% 이상)로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오 교수는 “이 같은 수치는 많은 인구가 타 지역으로 이탈하는 것을 보여준다”며 “대응책으로 출산율 촉진정책과 고령사회 대응 정책, 각 정책에 대한 지역 홍보, 인프라 개선, 청년인구 유출 방지와 유입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최근 5년간 인구증가율이 가장 높은 화성시에는 현대·기아차 생산공장과 연구소가 있으며 2위 세종시는 젊은 도시로 지식산업이 활성화됐다”고 소개하며 “인구증가율 상위 지자체들의 특징을 보면 산업인프라와 교통인프라, 이에 따른 교육과 보건의료, 생활환경 여건이 잘 갖춰져 있고 지속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시민들도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출산을 앞두고 있는 가정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정영민씨는 “통영의 산부인과를 다니고 있지만 조산 등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려움을 겪는 등 출산 환경이 미비해 다른 지역에서 출산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출산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나라씨는 “주택 구입 등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한 정책이 없고 주택 구입 이자 지원사업 등 관련 사업은 소득 제한 등 여러 가지 제한 요건이 있어 지원받기 힘들다”며 “청년이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손준해씨는 “10년 전과 비교해 볼 때 외벌이 가정의 출산율은 크게 차이 나지 않지만 맞벌이 가구의 출산율은 확연이 낮게 나타난다”며 “일과 근로가 양립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통영시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인구정책을 발굴하고 이를 공론화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통영시의 인구문제가 통영시민 전체의 문제로 인식돼 정책 수립이나 시행과정에 시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ksh@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김성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