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7일 (토)
전체메뉴

[동서남북] ‘돌고래 무덤’ 비난에 고래관광사업 기로- 지광하(울산 본부장·부장)

  • 기사입력 : 2017-02-27 07:00:00
  •   
  • 메인이미지

    울산 ‘고래생태체험관’의 수족관 전시용 돌고래가 잇따라 폐사하자 돌고래 사육·전시 관광정책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 때문에 고래관광도시로의 도약을 꿈꾸던 전국 유일의 ‘고래문화특구’ 장생포도 중대한 갈림길에 서게 됐다.

    울산 고래생태체험관이 2억원을 들여 지난 9일 일본에서 수입한 돌고래 2마리 중 1마리가 닷새 만인 13일에 죽었다.

    지난 2009년 개관 이후 폐사한 돌고래가 6마리로 늘면서 고래생태체험관은 ‘돌고래 무덤’이라는 오명을 떨치기 어렵게 됐다. 지금까지 이곳에서는 수입한 4마리와 수족관에서 태어난 새끼 2마리가 폐사했다.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가칭 ‘울산 남구청 돌고래 수입반대 공동행동’이 최근 남구청장과 남구도시관리공단 이사장, 고래박물관장 등 3명을 울산지검에 고발하는 등 돌고래 폐사에 따른 파문은 날로 확산되고 있다. 환경단체는 이들이 동물보호법과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야생생물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야생의 돌고래를 좁은 수족관에 가두는 것 자체가 돌고래를 학대하고 죽음에 노출하는 일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환경·동물보호단체들은 돌고래 수입 영구 금지, 전시 돌고래 방류, 돌고래 수입·폐사 책임자 처벌, 먹이 주기를 가장한 돌고래쇼(생태설명회) 즉각 금지 등을 촉구하는 집회와 회견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현실에 장생포 고래관광은 최대 위기를 맞이하게 됐다.

    장생포는 국내 고래잡이 전진기지로 번성했으나 지난 1986년 상업포경 금지 조치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울산시 남구는 장생포의 고래잡이 역사와 문화가 관광자원으로 적합하다고 판단, 지난 2005년 고래박물관 개관을 시작으로 고래생태체험관과 고래문화마을 등 관련 인프라를 잇달아 조성했다. 그런 노력으로 장생포는 한 해 90여만명이 방문하는 관광지가 됐다.

    그동안 고래생태체험관의 수족관 사육을 두고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으나, 남구는 수족관 운영을 포기하지 않았다. 실제로 가장 많은 관광객을 불러모으는 인기 시설일 뿐 아니라 고래도시의 역사와 분위기를 잘 나타내는 대표 시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입되거나 태어난 돌고래 10마리의 절반이 넘는 6마리가 수족관에서 폐사함에 따라 앞으로 비난 여론이 확산돼 고래관광은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남구와 고래생태체험관은 돌고래가 더 이상 폐사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광하 (울산 본부장·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지광하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