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6일 (금)
전체메뉴

[촉석루] 도시재생 뉴딜정책과 창원- 김종대(창원시의회 부의장)

  • 기사입력 : 2017-09-04 07:00:00
  •   
  • 메인이미지


    건강하고 따뜻한 공동체 육성과 적재적소에 필요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도시재생 뉴딜정책은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사업이다.

    새 정부는 향후 5년간 50조원의 공적 재원으로 전국 500개소의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개선하려고 한다. 창원시는 2008년 민관협의회를 전국 최초로 구성했고, 2011년 국토부의 도시재생 연구사업 시범지역으로 지정되며 대한민국 도시재생의 1번지가 됐다.

    이 시기에 창동예술촌과 부림창작공예촌을 창원시 재원으로 조성하고 예술작가들을 도심에 입주시켰으며, 현재 입주작가를 포함해 100여명의 예술작가들이 원도심에서 활동 중이다.

    창원시는 전담조직으로 도시재생과와 현장의 도시재생지원센터를 두고 마산 원도심뿐만 아니라 의창구 행복의창, 진해구 에코뮤지엄시티 및 블라썸여좌 등의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꾸준한 도시재생 추진 결과로 원도심의 유동인구는 3배, 상점가 매출액은 1.5배가 증가했으며, 2016년 국토부 사업관리부문 최우수, 2017년 광주광역시 시민정책마켓 우수정책 선정 등 대내외적인 성과를 쌓고 있다.

    도시재생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다. 실질적인 주민참여가 이뤄지기 위해 행정과 동등한 수준의 관계설정이 가장 이상적 주민참여의 단계라 할 것이다.

    창원시 재생사업이 필요한 지역은 최소 34개소나 된다. 지속가능한 창원시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주도적 참여는 어떠한 모습일까? 지난해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마산 구도심의 불종로를 걷고 싶은 거리 조성을 위한 시민협의회를 구성해 지역주민이 제안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실시설계가 진행됐다.

    창원시는 중소도시에서 지향해야 할 도시재생사업의 건강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행정기관이 이끌어가는 것보다 중간조직인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전문가 그룹과 주민과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는 도시재생의 목적에 부합한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안정적 운영이 도시재생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다.

    김종대 (창원시의회 부의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