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21일 (화)
전체메뉴

[열린포럼] 신문은 오늘의 정당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이병수(미국 일란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시대 상황에 맞춰 변화하고 발행 부수에 대한 집착 버려야

  • 기사입력 : 2011-11-03 01:00:00
  •   



  •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젊은 유권자들이 정당도 없고 정치 경험도 없는 무소속 박원순씨를 시장으로 선출했다. 이것은 정치가들이 현 세대들이 겪고 있는 등록금, 취업, 안정적 고용, 육아, 주택 등의 문제를 유권자 입장에서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주는 대신, 당 싸움을 비롯,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국회에서의 몸싸움 등으로 시민들이 현실 정치에 염증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과거에는 정당에 가입하면 경쟁상대가 타 정당의 소수 정치인뿐이었으나 이제는 소셜네트워크를 통한 새로운 다크호스 등장 가능성으로 과거의 좋은 시절은 다 가버렸다. 한국의 신문도 정치인과 비슷한 입장에 놓여 있음에도 정치인과 마찬가지로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2008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자료에 의하면, 시민들은 신문기사 및 뉴스에 대한 설문에서 기자들의 전문성이나 신문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신문에 대한 신뢰감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으로 편파적이라고 느낀 사람이 68.8%, 국민의 이익보다 자사 이익을 우선한다고 보는 사람이 67.8%, 부유층과 권력층 입장을 대변한다고 보는 사람이 65.8%, 정치, 경제에 대한 비판 부족 59.2%, 정정보도 부족 59.2%, 대책 제시 없이 비판 일변도 56.6%, 사실보도와 기자의견 구분 모호가 56.4%였다.

    신문이 시민들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변화를 꾀하지 않으면, 어떤 독자들은 금품공세를 해야만 구독을 할 것이고, 젊은 세대들은 신문을 염두에 두지 않고 아예 소셜네트워크를 주 정보원으로 삼을 것이다. 신문이 광고수입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 있으면 이런 악구조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겠으나, 작금의 상황은 신문이 변화하지 않으면 커다란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경제상황이 나빠지면서 신문 수입이 절대적으로 줄어들었다. 미국의 경우 수입의 80%를 차지하던 광고수입이 2010년에는 5년 전에 비해 52%나 감소했다. 한국의 경우 2009년에는 2년 전과 비교해서 매출액이 약 33%나 감소했다.

    경제상황 외에 한국신문은 또 하나의 복병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광고주들은 광고를 할 때, 신문의 광고효과보다는 자사에 유리한 기사를 내보내고, 불리한 기사는 빼거나 약화시킬 거라는 기대로 광고를 준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신문사 이외에 인터넷 등 수많은 정보 공급자가 생겨 신문사와 손을 잡을 경우 효과가 예전과 다르다는 것을 느끼면서 신문사의 발행부수공개를 요구해 왔다. 한국ABC협회는 1996년 처음으로 발행부수를 공개하기 시작한 지 10여 년 만인 지난 2009년 말, 신문사의 저항에도 대부분의 일간신문 부수를 공개하게 했다.

    그렇다면 신문은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는 부수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 세계 최고의 권위지인 뉴욕타임스의 부수는 2011년 3월 말 약 92만부, 워터게이트 사건을 파헤침으로써 닉슨 대통령을 하야시켰던 워싱턴포스트는 55만부에 그치고 있다. 미국의 신문들은 부수에 연연하지 않으면서 신문구독료를 올려 왔고, 절독하는 독자들을 잡기 위하여 과거처럼 할인 정책을 쓰지 않고 있다.

    둘째는 질로 승부해야 한다. 수용자 조사가 보여 준 것처럼 전반적으로 공정하고 시민의 입장에서 사건이나 문제를 보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독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어 그들의 욕구와 필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중 어떤 분야에 집중, 특화하는 것이 자사에 가장 유리할 것인지 파악해야 한다.

    셋째는 독자들의 관심, 취향, 소비 패턴 등의 정보를 모으고 이를 매개로 광고 효과를 높여 광고 단가를 높여야 한다.

    넷째, 신문은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에 있는 젊은 층에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동시에 급속하게 퍼지는 태블릿 PC, 스마트폰을 통해서 어떻게 젊은 세대에게 어필할 수 있을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병수(미국 일란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