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7일 (토)
전체메뉴

[사설] 지자체, ‘소극장 살리기’ 적극 나서라

  • 기사입력 : 2018-03-07 07:00:00
  •   

  • 지난달 초 운영난으로 폐관한 가배소극장(창원시 마산합포구 창동)의 운명은 지역 소극장의 어려운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동시에 문화를 발전시켜 주민들의 생활을 풍성하고 행복하게 하겠다는 지자체의 구호가 낯 뜨겁기만 하다. 지난 2010년 문을 연 가배소극장은 마산에서 활동하는 극단들이 작품을 연습하고 제작하고 무대에 올렸던 곳이다. 연평균 100일 정도 공연을 했고, 10일 이상 장기공연도 자주 했다. 이곳에서 지역 연극인들은 역량을 키워 왔다. 소극장으로 떼돈이 벌릴 리도 만무하지만, 한 달 100만원의 운영비가 벅차 지역 문화 생태계의 뿌리가 뽑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이런 현실에 대해 귀를 막고 있는 듯한 창원시의 태도가 한탄스럽다.

    창원시를 비롯해 도내 지자체 중 민간 소극장에 운영비를 지원하는 곳은 전무하다. 연극과 관련된 규정이나 방안도 없다. 사유재산이라는 이유로 예산을 지원할 수 없다는 것이다. 소극장이 무형의 지역자산이라는 외침이 공허하기만 하다. 창원은 더 심하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역 공공 공연장에 예술단체가 상주하며 작품을 제작하고 공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주단체 사업마저 운영하지 않고 있다. 마산예총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창동예술소극장은 열악한 시설로 소극장이란 이름조차 부끄럽다. 많은 연극인들이 소극장을 ‘꿈의 공간’이라고 말하지만, 척박한 현실은 그 꿈의 무게를 지탱하기가 녹록지 않은 것이다.

    도내에는 경남연극협회에 등록된 16개 극단 중 9개 극단이 전용 소극장을 운영하고 있다. 운영비는 극단 관계자들이 주머니를 털어 충당한다. 언제 가배소극장과 같은 운명을 걸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작품이 자유롭게 창작되고 공연되는 환경이 만들어지도록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인근 울산시와 대구시, 서울시가 소극장을 직영하거나 임대료 등을 지원하고 있는 것은 좋은 반면교사가 된다. 지자체의 의지에 달려 있다는 얘기다. “그저 안정적으로 연극을 창작하고 무대에 올리는 것을 바랄 뿐이었다”는 가배소극장 대표의 말이 가슴 찡하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