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27일 (토)
전체메뉴

[기고] 경로당 운영의 전환시대- 심상동(경남도의원)

  • 기사입력 : 2021-11-02 20:21:24
  •   

  •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지구촌에서 가장 빠르다는 사실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1955~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인 반열에 합류하면서 고령화는 더 거세질 것이 자명하다. 노령화지수 상위 15개 시군 중 경남이 4개 시군이 포함되었다. 경남의 군부 지역 노인인구 비율이 40%에 육박하는 곳도 있다.

    경로당 시대에 부응하고 미래지향적 변화를 요청하는 까닭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징인 고학력·고기능의 신세대 노인증가도 힘을 보탠다. 우리나라에서 노인복지 용어가 등장한 것은 1981년 1월 노인복지법 제정 이후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

    기껏 주민 스스로의 기부와 각출로 작은 쉼터를 마련 정도랄까? 노인당, 노인정, 경로당, 마을회관 등의 이름으로 각자도생해 왔다. 80년대 들어 이들 시설에 대한 개·보수 지원이 확대되고, 정부 또는 자치단체에서 경로당을 마련해 주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이와 별개로 정부의 복지확대정책의 일환으로 복지서비스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관 또는 종합복지관 등의 시설들도 일반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들 시설은 유사한 목적을 지니고도 어딘지 모를 괴리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별 아닌 차별일 수도 있다. 노인복지시설의 전환이 요구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변화의 방향은 경로당의 공적운영과 복지관시스템 적용이다. 그간 존재했던 경로당과 복지관의 간극을 제거하자는 의미다. 핵심은 운영주체와 복지서비스품질에서 찾을 수 있다.

    초고령화가 진행된 상황에서 노인은 더 이상 단순 보호대상이 바라봐선 안 된다. 사회구성원이고 경제주체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경로당이 공동생산작업장이나 어린이·아동 돌봄 교육의 장으로 되지 말란 법이 없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복지관의 수용 한계에 베이비부머 노인 증가라는 변수도 이에 힘을 더한다. 즉 복지관과 경로당이 연결되는 시스템 일원화와 그 선상에서의 운영형태의 변화가 요구된다. 경로당에서도 특성에 맞는 맞춤프로그램이 운영돼야 한다. 이를 연결하고 조정할 수 있는 거점경로당의 설치는 긴요하다.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노인인구편입은 새삼 노인복지서비스품질 제고를 요청하고 있다. 경로당을 복지관이 연계된 공적운영이 지향점이다. 수요를 감안한 시설규모를 갖추고 난방비 및 운영비 지원 또한 규모를 감안해야 한다.

    기능적 측면에서도 기존의 소규모 친목을 다지는 사랑방 역할을 넘어 교양, 건강, 재활치료 등 기능다양화가 이뤄져야 한다. 안마기, 간단한 치료기, 운동기구 설치와 그라운드골프장 등 외부시설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는 노인우울증, 치매 및 자살방지 등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필자는 도의회 입성과 동시에 경로당 건립 및 노인복지서비스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정책변화 없는 일부의 노력으로는 문제 해결까지 하세월로 보인다.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자는 제안을 해본다. 첫째 방안이 노인실태조사다. 경남도를 비롯한 행정이 이를 적극 반영해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심상동(경남도의원)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