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01일 (토)
전체메뉴

[의원칼럼] 정치는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한다- 전홍표 창원시의원(월영·문화·반월중앙·완월동)

  • 기사입력 : 2023-08-16 19:47:14
  •   

  • 기후위기의 심각성은 해마다 조금씩 바뀌는 날씨로 느끼고 있다. 지난 7월의 폭우와 폭염으로 그 심각성을 한 번 더 체감하게 됐다. 특히 폭우 빈도와 강도가 증가했다.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로 인한 안타까운 희생 또한 기후위기의 징조이다.

    2019년 동물 5억 마리를 사망하게 한 호주의 산불, 2021년 2월 미국 텍사스의 대한파로 인한 정전 사태, 56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겪은 대만 등 모두 기후변화로 나타난 재난의 양상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도 기후위기의 결과물이라고 한다.

    심지어 기후위기는 전쟁의 위협을 고조시키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2020년 사상 최고 이상기온으로 가뭄이 지속됐고, 서울시 면적의 10배에 달하는 57만㏊ 규모의 작물 피해를 보았다. 곡물 가격이 불안정해진 탓에 사회적 혼란과 정치적 불안이 확산했고, 러시아에 전쟁의 빌미를 내줬다는 시각이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의 문제는 인류의 존망과 직결된 것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인류는 지난 200년간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경제 발전과 풍요로운 삶을 누렸다. 하지만 그 대가로 대기 중 탄소 배출은 세계 곳곳에서 홍수, 가뭄, 산불, 전쟁 등 재앙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후위기는 지역과 정파, 이념과 진영을 가리지 않고 닥쳐오고 있다. 인류의 존망이 달린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사회는 유엔기후협약, 교토의정서, 발리 행동계획 등을 통해 공동의 대처를 모색하고 있다. 기후위기가 특정 정파나 국가의 힘과 의지만으로 극복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노력하고 있다. 한 예로 우리나라 전체 발전량 중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최근 국내 주요 기업은 잇따라 ‘재생에너지(Renewable Electricity) 100%’를 선언하고 있다.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대처하겠다는 캠페인으로, 전 세계적 필수 규칙이 됐다. 관세를 매기는 것처럼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기후위기 대응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경제적으로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최근 기후위기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기업의 비재무적 가치 평가에도 ‘ESG’를 적용하고 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말이다. 기후위기, 사회적 책임, 투명하지 못한 경영 등을 해결하지 못한 기업은 성장하기 어려운 세상이 된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도 세계 무대에서 살아남으려면, 선택이 아닌 의무로 ESG 경영을 도입해야 한다.

    이제 기후위기는 특정 분야 사람들만의 관심사가 아니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 환경, 교육 등 전반에 걸쳐 대처 방안과 실천으로 이어져야 할 과제이다.

    정치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기관과 권력의 분배, 의사결정 과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가며 그 우선 순위를 정한다.

    우리 정치도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것이 환경 문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사회와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정치가 먼저 기후위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

    전홍표 창원시의원(월영·문화·반월중앙·완월동)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