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30일 (화)
전체메뉴

[기고] 지역의료 공백을 없앨 골든타임 얼마 남지 않았다 - 박해영 (경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장)

  • 기사입력 : 2023-11-19 21:05:53
  •   
  • 박해영 경남도의회건설소방위원장

    만약 여러분이나 가족이 암에 걸렸다면 서울에 있는 병원을 찾아가겠는가 아니면 거주지역 내 가까운 병원을 찾겠는가? 10명 중 10명이 전자를 선택하고 싶을 거라 짐작한다. 실제 서울에 있는 병원에서 진료나 치료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많아 창원중앙역에서도 매일 아침 KTX 첫차를 타려는 줄이 길다고 한다.

    그렇다면 다시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창원에 사는 사람은 왜 진료를 위해 서울로 가야만 하는가? 창원에 사는 것이 무슨 죄이기에 하루를 저당 잡히고 새벽같이 일어나 첫차에 몸을 실어야만 하고, 서울에 사는 사람은 무슨 복이 있어 얼마 멀지 않은 병원을 이용할 수 있단 말인가? 이유는 간단하다. 의료인력과 인프라 대부분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으려는 지역의 환자가 서울로 모여드는 것이다. 환자가 없으니 의사도 더 나은 환경을 따라 서울로 떠나고 자연히 지역의 의료인력과 인프라는 붕괴 위기에 봉착하는 악순환이다.

    경남도민이 느끼는 지역 간 의료격차는 더 크다. 도내 18개 시·군 중 14곳이 의료취약지역으로 지정됐는데 경남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1.65명으로 전국 평균(2.04명)에 못 미치고 서울(3.14명)에 비해서는 절반 수준이다.

    서울은 평균 2.8㎞ 안에 종합병원이 있지만 경남도민들은 31.5㎞를 이동해야만 한다. 17개 광역시·도 중 종합병원과의 거리가 제일 멀다. 도내 공공의료기관에는 수개월·수년째 의사 구인난을 겪고 있다. 다름 아닌 의료공백 상태인 것이다. 암 치료는 고사하고 아픈 아이 치료나 분만을 위해 갈 병원도 없어 구급차를 타고 뺑뺑이를 돌아야 하는 처지다. 상황이 이러하니 아프면 큰일이라는 말이 자연스레 나온다.

    지역 의료공백 사태는 곧 지역민의 삶의 질 저하와 직결되고 나아가 인구감소·지방소멸을 가속화하기 때문에 하루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환자와 의사의 수도권 집중 현상과 지역 의료공백을 해결하기 위한 제1의 조치는 ‘의사 수 확대’이다. 우리나라 의대 정원은 3058명으로 2006년 이후 19년 동안 그대로이며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2.6명(한의사 포함·2021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 멕시코 다음으로 적다. 그렇다 보니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전 국민의 이목이 쏠려 있다. 정부는 국립대병원 필수의료 중추 육성, 국립대-지역 병·의원 협력 강화, 의대 정원 확대 및 지역·필수의료 분야 정착 유도, 국가지원체계 강화, 국가중앙의료 네트워크 등의 계획을 발표했는데 지역에서는 더없이 반가운 일이다. 특히 인구 100만 비수도권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는 창원은 의대 신설을 간절히 염원한다.

    국민에게는 어디에 살든 상관없이 건강권을 보장받을 권리가, 국가는 이를 보호할 책무가 있다. 의료계도 의료공백 사태 해결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적극 협조해야 한다. 지역 의료공백 해소를 위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박해영 (경남도의회 건설소방위원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