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5월 07일 (화)
전체메뉴

창원시내버스 집중 진단 (4) 제주도 공영제

비수익 노선만 ‘지자체 직영’… 교통 편의 ‘만족’ 적자 발생 ‘부담’

  • 기사입력 : 2016-08-23 07:00:00
  •   
  • 메인이미지
    제주시 노형동 공영버스 차고지에 공영버스가 정비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제주도의 공영제 시내버스는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각각 지난 2003년과 2004년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기존 민간 업체의 잦은 경영난으로 폐업이 반복되는 등 정상적인 운행이 이뤄지지 않자 지자체가 직접 나선 것이다. 수익노선은 민간 업체에 맡기고 비수익 노선만 지자체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 시민들에게는 외곽 노선 등 비수익 노선에 대한 교통 편의를 고르게 제공하고 버스 업체는 비수익 노선을 맡지 않아 손실에 대해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공영제는 지자체가 전적으로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데다 70세 이상 노인을 무료 탑승객으로 분류하는 등 적자 발생은 감안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또 공영버스는 30대를 초과하면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공기업으로 전환해야 된다는 점에서 창원처럼 범위가 넓은 지역은 공영제 검토 시 공기업 설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부담이다.

    ◆공영제 도입 배경= 공영제가 도입되기 전 제주도의 시내버스는 민영제로 운영됐지만 민간업체의 경영난으로 운행 중단이 잦았다. 서귀포시의 경우 A업체는 경영난으로 길게는 10개월간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급기야 버스 업체들이 줄줄이 폐업하는 사태까지 벌어졌고 대중교통 이용 불편이 가중되자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대중교통개선사업팀을 구성해 버스를 직접 구입하는 등 공영제를 전면 시행하게 됐다. 제주시는 지난 2003년 9월 20일, 7개 노선 15대로 시작해 8월 현재 12개 노선에 29대를 보유하고 있다. 서귀포시는 지난 2004년 9월 10일, 4개 노선 10대로 시작해 현재 9개 노선, 24대를 운행중이다.

    공영버스는 일주노선을 제외하고 중산간, 해안가 등 비수익 노선을 담당하고 있다. 민간업체 2곳이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일주노선을 각각 맡고 있어 업체는 비수익 노선에 대한 부담을 덜고 지자체는 시민 교통편의를 도모하는 구조이다. 노선을 구분해 민영제와 공영제가 공존하고 있는 셈이다. 제주시 교통행정과 송승환 과장은 “버스기사는 공무원과 마찬가지 신분으로 월급을 시에서 주니 밀릴 일이 없고, 고용이 안정돼 파업 등으로 시민들이 당일 통근을 걱정해야 하는 일은 없다”며 “민간 노선의 버스회사도 각각 운행 노선이 달라 기사들이 수입경쟁을 벌이기 위해 시간에 쫓기는 일은 없다”고 말했다.

    ◆기사 처우는 승객 서비스= 기사에 대한 안정적인 처우는 승객 서비스로 이어진다.

    취재진은 지난 7월 13일 오전 11시께 제주시 노형동에 위치한 차고지에서 ○○번 버스를 직접 타보았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할 때마다 출입문을 미리 열거나 승객이 타자마자 출발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버스 운전만 30년, 공영버스를 13년째 몰고 있다는 구자원(59) 기사는 “시간에 쫓길 이유가 없다”며 “시민 편의를 위해 도입된 공영버스인데 배차나 운행에 쫓겨 시민들이 위험에 노출된다면 공영버스의 존재 목적이 사라지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비교적 시민들이 많이 타는 노형오거리 정거장에서 버스는 버스베이에 정확하게 진입했다. 버스에 올라선 한 승객은 기사에게 경유지를 물었다. 질문이 거듭됐지만 기사는 일일이 대답하며 승객이 자리에 앉는 것을 확인하고서야 출발했다. 창원에서 18년차 베테랑 운전기사가 배차 시간을 맞추기 위해 신호위반과 곡예운전도 감수한다는 지난 본지 보도의 지적과는 대비되는 대목이다.

    구 씨는 “민간업체는 수입과 성과를 생각해 연차와 휴가도 마음대로 못 쓰는 경우도 있다고 하던데, 공영버스 기사는 공무원 신분으로 고용과 월급이 안정적인 것이 큰 장점인 것 같다”며 “제주의 공영버스는 신호를 위반하거나 과속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 마음이 편해야 승객에 대한 대우도 친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메인이미지
    제주시 공영버스 구자원 기사가 버스 운행을 위해 출발 전 시동을 걸고 있다.

    ◆운송수입과 이용객 꾸준히 늘어=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공영버스 이용객은 해마다 늘고 있다. 제주시의 공영버스 이용객은 지난 2012년 329만7000명에서 지난해 339만4000명으로 늘었고 서귀포시 역시 2012년 191만7000명에서 지난해 196만5000명으로 늘었다. 이용객이 늘다 보니 운송수입 또한 증가했다. 제주시가 지난 2013년 운송수입 16억6700만원에서 지난해 19억7200만원으로 늘었고 서귀포시가 2013년 12억9700만원에서 지난해 14억3400만원으로 증가했다.

    공영제는 주민들의 교통 불편 해소에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주시는 추자, 우도 등 버스가 들어가기 힘든 벽지 노선에 대해서도 위탁 운영을 통해 공영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시가 직접 심야 및 안심귀가 공영버스를 운영하는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시내버스 운행이 종료된 후 밤늦은 시간에 귀가하는 직장인, 학생 등의 안전한 귀가를 위해 지난 2014년 2월부터 정류소 이외에 승객이 원하는 장소에 하차가 가능한 버스를 운행 중이다.

    관광과 접목한 시티투어버스도 호응이 좋은 편이다. 제주시는 지난 2014년부터 시내관광지 20개소를 경유하는 시티투어버스를 운행 중으로 도입 첫해 1만2404명이던 이용객이 지난해 2만5143명으로 2배 이상 늘었고 올 상반기에만 1만5206명으로 올해 이용객은 3만명 수준으로 늘 전망이다.

    메인이미지

    ◆적자구조 한계= 공영버스는 시민 편의를 위해 민간 버스 업체가 기피하는 비수익 노선에 투입되다 보니 적자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제주시의 경우, 지난해 적자 18억5500만원을 기록하는 등 제주·서귀포시 모두 매년 15억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적자 요인은 승객 분포에서도 잘 나타난다. 제주도의 공영버스는 교통약자를 고려해 공영버스 운영 관련 조례에 따라 장애인 1~3급·국가유공자 및 동행 보호자, 만 70세 이상 노인 등은 무임 승객으로 정하고 있다. 제주시의 경우, 올 상반기 164만4600명의 이용자 가운데 57만2000명이 무임 승객으로 나타났다.

    ◆공기업 전환 검토= 제주도는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관광객의 증가로 버스 승객 수요는 늘고 있다. 제주도의 인구는 지난 2006년 56만1695명이었지만 지난해 64만1355명으로 대폭 늘었다. 그러다보니 제주도의 올해 인구 1000명당 버스운행대수는 0.40대로 전국 평균 0.75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제주·서귀포시 모두 수요 증가에 따라 버스 증차를 꾸준히 해오고 있지만 증차 규정에 발목이 잡혔다. 제주시의 경우 현재 29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그 이상 증차할 수 없다. 지방공기업법에 따르면 자동차운송사업인 경우 보유차량 30대 이상이면 지방공기업을 설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제주도는 대중교통 체계 개편을 통해 제주·서귀포시의 공영버스 운영체계를 공기업 체계로 통합 운영을 고려 중으로 관련 용역을 진행 중이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현행 공영버스 운행대수로는 도민들의 교통수요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므로 향후 교통수요 증가에 대비해 지방공사 설립도 검토 중이다”며 “현행 공영버스 운영체계를 공기업 체제로 전환해 장기적으로 많은 노선권을 확보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용훈·김현미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취재했습니다.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김용훈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